Backend/OOP
2021. 7. 15. 00:22
[10분 테코톡] DTO vs VO with 인비, 라흐, 지노&비모
우아한Tech 채널의 DTO vs VO 영상들을 보고 저의 방식으로 풀고 첨가해 글을 작성했다.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같은 주제로 세 개의 영상이 올라와있었는데 거의 동일한 내용이기에 하나의 영상만 보아도 될 것 같다. 그 중 최신의 영상만을 첨부한다. 또한, 발표 영상 후 부가 설명을 직접 포스팅 하셨으니 이 또한 첨부한다. (https://velog.io/@taehee-kim-dev/DTO-vs-VO) 꼭 이 포스팅까지 보기를 추천한다. DTO (Data Transfer Object) - 계층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 - 게터와 세터외에 다른 로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. => 순수하게 데이터 전달만을 위한 객체이기 때문이다. VO (Value Object) - 값 그 자체만을 표현한다...